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새로운 전통, 젊은 국악의 신선한 매력

한국국제교류재단이 ‘2009 주한외국인을 위한음악회-새로운 전통으로’ 를 6월29일 남산골한옥마을 내 서울남산국악당에서 개최했다. 국악에 대해 생소한 외국인은 물론 신세대 젊은이에게 우리 음악의 새로운 멋을 전한 흥미로운 공연에 내외국인 모두가 하나로 어우러졌다.

주한 외국인을 위해 마련된 이번 음악회는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에게 한국 문화 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03년부터 매년 여름 한국국제교류재단이 개최해온 행사다. 이번 공연에서는 한국의 국악기인 가야금으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연주하는 가야금 4중주단 ‘여울’과 전통음악에 바탕을 두고, 창작과 재구성을 더하여 남녀노소 모두 즐길 수 있는 음악을 만들어가는 그룹 ‘훌’이 힘있고 흥겨운 무대를 선보였다.



부드러운 선율이 만들어낸 강한 느낌, ‘여울’
사회자의 환영 인사와 함께 음악회가 시작되자 빛깔 고운 한복을 차려입은 네명의 연주자가 무대 위로 올라왔다.그들이 처음 선보인곡은 ‘드리밍(Dreaming)’. ‘여울(Yeoul)’은 꿈꾸는 듯한 아름다운 선율을 가야금 4대로 빚어냈다. 뒤이어 이들은 ‘송어(Trout)’를 연주했다. 슈베르트의 ‘송어’를 편곡한 곡으로 클래식 원곡에 재즈적 화성과 리듬을 더한 곡으로 가야금 특유의 신선한 공명과 가야금 앙상블이 만들어내는 산뜻한 리듬감이 전해졌다.
가야금의 선율로 관객을 매료시키고 난 뒤 연주자들의 소개가 이어졌다.
그들은 다양한빛깔의 한복을곱게 차려입고 있었는데 이 또한 젊은감각에 맞게 이브닝 드레스가 연상되도록 디자인한 것이었다. 그들의 음악적 색깔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의상이 아닌가 싶었다.
여울이 들려주는 음악은 국적을 초월했고, 장르를 불문했다. ‘플라이 투 더 문(Fly to the Moon)’을 연주할 때는 스탠더드 팝으로 널리 사랑받는 원곡에 우리 음악 고유의 리듬을 적절히 매치해 한국적인 느낌을 살린 독특한 음색을 들려주었고, 우리 민요 ‘뱃노래’를 연주할 때는 전통음악을 현대적인 선율로 재해석하여 이국적인 음악을 선보였다.
마지막으로 그들이 연주할 곡을 전할 때 관객들 사이에서 웃음이 터져나왔다. 그 곡은 놀랍게도 록 음악계의 전설이라 불리는 레드 제플린의 ‘스테어웨이 투 헤븐(Stairway to Heaven)’이었다. 가야금 연주로 새롭게 탄생한 록은 애절하면서도 웅장한 느낌을 전달했다. 밴드가 연주하는 느낌과는 전혀 다른 감동이 관객에게 전해졌다.
‘강이나 바다에서 물살이 세게 흐르는 곳’을 뜻하는 여울이라는 이름처럼 그들의 음악은 부드럽지만 강렬한 느낌을 주었다.



그들의 음악이 곧 대한민국의 음악이다, ‘훌’
두 번째 무대가 다시 시작되고 ‘훌(wHOOL)’이 등장했다. 시작부터 심상치 않은 기운이 돌았다. 마치 신성한 제식을 준비하는 것처럼 고수(鼓手)의 몸가짐은 한 치의 흐트러짐 없이 정결해 보였고, 혼을 담은 연주에서 울려 퍼지는 깊은 북의 공명은 드럼에서 느낄 수 있는 그것과는 사뭇다른 감흥을 불러일으켰다. 첫 번째로 그들이 연주한 ‘대륙의 혼’이라는 곡은 피리, 태평소, 북 그리고 전자기타와 드럼의 밴드 음악이 어우러져 강렬한 첫인상을 남겼다.
다음 곡인 ‘일월의 정기’를 연주할 때는 훌의 리더이자 보컬을 맡고 최윤상 씨가 창을 선보였다. 이 곡은 전통음악인 ‘비나리’의 축원가를 바탕으로 구성한 현대판 비나리로, 노래를 통해 해와 달의 기운을 받아 복을 나눠준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우리나라 말에 익숙한 외국인일지라도 모든 내용을 이해하기는 어려웠겠지만 그들이 전하는 행운의 메시지는 전달되었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훌은 장르의 벽을 의식하지 않고 음악적 실험을 꾸준히 추구하는 밴드다. 보사노바의 느낌이 물씬 묻어나는 ‘스타트’에서도 장구 연주를 접목시키는 모험을 시도하는 한편, 경기 민요 ‘뱃놀이’를 그들만의 색깔로 재구성한 곡 ‘선유’에서는 일렉트로닉 분위기의 비트 위에 후렴구를 반복해 한국인 특유의 신명과 세련된 흥겨움을 느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그들의 대표곡인 ‘수제천’의 연주로 그들의 공연은 끝을 맺었다.
공연의 하이라이트는 이제부터였다. 훌의 공연이 끝난 뒤 먼저 연주를 마친 여울과 훌의 합동 공연이 이어졌다. 훌의 강력한 사운드에 여울의 청량한 가야금 연주가 얹혀져 더욱 완성도 높은 공연이 이어졌다. 무대에서 연주하는 그들과 그들을 바라보는 관객이 모두 하나가 되는 순간이었다. 관객과 함께 호흡하는 음악이 우리나라 전통음악의 가장 큰 장점이라는 것을 다시한번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국악의 새로운 매력에 젖어 모두가 하나된 자리
공연이 끝나고 연주자들이 인사할 때 관객들은 모두 자리에서 일어나 무대 위로 박수를 보냈다. 외국인 관객들에게 이번 공연은 매우 특별한 체험이 되었다. 특히 한국에 온 지 이제 한 달이 지났다는 메건과 대니얼에게 오늘의 공연은 더욱 특별했다. 그들 자신이 미국에서 음악을 연주하고 학생들을 가르치던 선생님이었기 때문이다. 대니얼은 “한국 전통음악에 대한 아무런 지식이 없었기 때문에 오늘 공연에 대한 기대랄까, 그런게 없는 상태였는데 정말 놀라운 경험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 메건 역시 “클래식과 재즈, 록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국악기로 재해석해 어우르는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그 가운데 녹아 있는 한국 고유의 정신도 느낄 수 있었고요, 오늘 공연 덕분에 음악뿐 아니라 다른 한국의 전통문화도 체험해보고 싶어졌습니다”라며 소감을 밝혔다. 이화여자대학경제학과 조교수인 블라디미르 할라스니도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It’s Crazy! 정말 대단했어요. 한국에 온 지 2년 정도 되어가는데 아직 한국 국악기를 다뤄본 적은 없었어요. 한국의 전통음악은 어렵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정말 놀라웠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한국 국악기를 꼭 배워보고 싶네요. 특히 가야금 연주는 정말 아름다웠습니다.”
이번 공연은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에게도, 우리의 국악을 멀리했던 젊은 세대들에게도 새로운 경험과 즐거움을 전한 뜻 깊은 자리였다.